회사 개인 공부
이동평균 구하기
모오오어
2021. 2. 3. 00:08
반응형
SMALL
이동평균선 : 이평선
이동평균선의 종류
<단기>
- 5일 이동평균선
- 20일 이동평균선
<중장기>
- 60일 이동평균선
- 120일 이동평균선
이동평균선 계산 방법
이동평균선의 의미
- 이동평균선이 추세를 만듦
- 추세가 한 번 만들어지면 한 번 잡힌 방향성을 계속 유지하려고 함
- 지지선 : 상승하는 항목을 지지해주는 추세선
- 저항선 : 하락하는 항목을 눌러주는 추세선
- 어떠한 항목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 가능
이동평균선 Excel 계산
- 예측(n=3) Average(XX:YY) 하고 드래그_오류 무시
- 예측(n=4) Average(XX:ZZ) 하고 드래그_오류 무시
- 예측(n=5) Average(XX:TT) 하고 드래그_오류 무시
- MAE : abs(실제 - 예측) : 절대값 abs 씌우고 평균 계산하면 MAE_가장 작은 값일 때 n으로 쓰기 좋음
- MSE : sumxmy2(실제 XX:YY, 예측 TT:ZZ)/count(XX:YY) _ 가장 작은 값일 때 n으로 쓰기 좋음
- MAPE (%) : n 예측/실제 * 100%_전체의 평균을 내서 가장 작은 값이 n으로 쓰기 좋음
그래프로 표현하기
이동평균선 관련 동영상
반응형
LIST